Intro
6월 로드맵에 의하면 주말에 ML과 Data Science를 주말에 1개씩 올리기로 계획했다. 그러나 주말에 너무 많은 일정을 소화해야 해 현실적으로 시간이 부족했다. 취업을 준비했던 작년 이후로 처음 카페에서 공부를 해 각각 인트로를 정리했지만, 정작 PC를 사용할 시간이 없어서 포스팅하지 못했다. 따라서 계획을 조금 수정해 포스팅할 내용 정리는 주말에 하고, 포스팅은 여유가 있는 주중 하루에 진행하겠다. 이제 잡설은 끝내고 네트워크로 돌아가겠다.
앞선 포스트들에서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들에서 시작해 네트워크의 형태로 점점 확장시켜 나갔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조금 더 범위를 넓혀 네트워크를 개념적 기준을 토대로 구분하겠다. 여기서 말하는 네트워크는 어떤 형태의 토폴로지를 취할 수 있다. 즉, 형태와 상관없이 네트워크가 미치는 영향 범위에 따라 개념적으로 구분하였다.
Categories of Network
LAN은 인터넷을 사용하며 가장 자주 듣는 단어 중 하나일 것이다. 경험을 통해 LAN이 네트워크와 관련된 단어임은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정확한 의미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LAN은 네트워크를 개념적으로 구분했을 때, 한 축을 담당하는 개념이다. 네트워크가 영향력을 미치는 범위에 따라 MAN과 LAN이 있으며, 이름과 다르게 범위와는 전혀 관계없는 WAN이 있다. 여기에 추가로 PAN, BAN 등이 있다.
LAN(Local Area Network)
LAN은 모두에게 친숙한 단어지만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는 단어일 것이다. 우리의 친절한 친구 위키백과는 LAN을 다음과 같이 정의내리고 있다.
근거리 통신망,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구내 정보 통신망은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가까운 지역이다. 토폴로지에 관계 없이 LAN은 근거리를 이어주는 네트워크이다. 오피스 내부의 사람들을 이어주는 연결이 될 수 있고, 여러 오피스가 포함된 건물의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LAN의 최대 범위는 정확히 정의 내리기 어렵지만 보통 대학교 캠퍼스 사이즈가 최대 범위로 여겨진다.
LAN을 세부적으로 나누면 HAN, SAN 등 다양한 네트워크가 있지만, 가장 유명한 WLAN 하나만 알면 될 것이다. LAN에서 나왔지만, 어느새 독립적인 영역을 구축해 LAN은 유선, WLAN은 무선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해버린 WLAN을 다시 한번 우리의 친구 위키백과를 소환해 정의 내리면 다음과 같다.
무선랜(無線 LAN, wireless LAN)은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일반적으로 확산 대역 또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방식)을 이용하여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해 사용자는 근거리 지역에서 이동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WLAN은 무선 네트워크이자 Cellular Network이다. 단순히 무선공유기와 핸드폰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의 고속도로 전광판, 송유관 간 통신 등이 여기에 속한다. Cellular Network와 WLAN에 대한 이야기는 훗날 WLAN에 대해 자세히 다루며 언급하겠다.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MAN은 LAN이 모인 형태이다. 즉, LAN보다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해 도시급 네트워크이다. 다시 한번 우리의 친구 위키백과를 소환해보면 MA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도시권 통신망(영어: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은 큰 도시 또는 캠퍼스에 퍼져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LAN과 WAN의 중간 크기를 갖는다. DSL 전화망, 케이블 TV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대표적인 예이다.
MAN에도 캠퍼스가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LAN의 최대 범위가 캠퍼스였던 것을 생각하면 이상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해프닝은 지금 네트워크의 구분을 개념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확히 제곱미터의 넓이로 범위를 구분하지 않고, 이해하기 편하게 오피스, 건물, 네트워크, 도시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렇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MAN은 연세대, LAN은 서강대라고 생각해보자. 캠퍼스 크기 차이를 비교하면 확실하게 감이 올 것이다.
WAN(Wide Area Network)
WAN은 이름만 들으면 매우 광범위한 범위의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 같다. 물론 WAN을 그런 의미로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WAN이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Size가 아닌 개념 그 자체로서 사용된다. WAN은 굉장히 먼 거리의 연결을 의미한다. 거기에 전용선의 개념이 추가되면 금상첨화이다.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는 것도 WAN이 될 수 있고, MAN과 MAN, LAN과 LAN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해외지부와 직통선이 연결된 회사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Wireless Network
앞서 Wireless Network이자 Cellular Network로 WLAN이 언급되었다. 너무 유명해 모두가 알법한 WLAN을 제외하고 또 어떤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 BAN(Body Area Network): LAN보다 근거리 통신이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인체 통신망으로 Wearable 기기와 인체에 삽입하는 기기 등의 통신을 의미한다. 건강, 헬스 쪽에 특화돼있다.
- PAN(Personal Area Network): 개인의 작업 공간을 중심으로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주로 Bluetooth를 이용한 개인을 위한 연결을 의미하고, Wearable 기기가 속해 BAN과 유사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 Satellite Communication: WAN보다 먼 거리의 통신을 의미하며,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항성 간 통신이다.
Appendix
앞서 개념적으로 네트워크를 구분 지었다. 이때 같은 크기의 네트워크를 보고 누구는 LAN으로, 다른 누군가는 MAN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표준을 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표준을 정할 때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모두가 관습적으로 사용해 독점적 지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법률상 표준으로 지정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를 표준화의 관점에서 두 용어로 정리하고 있다.
- De Facto(By Fact)
사실상의 표준은 관습, 관례, 제품이나 체계가 시장이나 일반 대중에게 독점적 지위를 가진 것을 말한다. 이를 좀 더 쉽게 풀면, 아무도 정하지 않았지만 모두가 하는 행위이다. PC에 윈도우 설치, 메인보드 설계의 IBM 방식 등이 있다.
사실상 표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 By Law(De Jure)
법률상의 표준은 관습적인 것과 다르게 인정된 법률 상의 사실을 표기할 때 사용된다. 이를 정할 때는 관계자들이 모여 법으로 정하게 된다.
데 유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Next
여태까지 네트워크에 대해 구성 요소들부터 개념적 구분까지 포스팅을 했다. 즉, 네트워크에 대한 전반적인 뼈대를 잡았다. 이제 본격적으로 네트워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 수 있는 규칙, Protocol들에 대해 다뤄보겠다. 우선 MAC에 대해 다루며 기초적인 프로토콜들을 접하겠다.